네이버 증권 배당률 확인시 주의 사항 - 시킹 알파 배당률 확인시 주의사항
네이버 증권 배당률 확인 시 주의 사항과 시킹 알파 배당률 사이트 확인 시 주의 사항을 알려드립니다. 저자도 네이버에 나온 배당률만 보고 와 진짜 배당이 높다고 생각했는데, 시킹 알파와 비교해 보니 차이가 많더군요.
우선 네이버 제공 배당금과 배당률은 전분기 단순 추정치임을 꼭 기억해야 합니다. 물론 시킹 알파도 추정치입니다.
한 가지 실제 배당률 예를 보시지요.
네이버 증권 사이트에서 이스라엘 최대 해운사인 ZIM의 배당률이 99%, 주당 배당금이 68달러로 나와 있습니다.

똑같은 이스라엘 최대 해운사인 ZIM의 배당을 시킹알파에서 찾아보면 배당률 99%, 주당 배당금이 17달러로 나옵니다.
네이버와 시킹 알파 배당률은 99%로 같게 나오지만, 주당 배당금은 17달러와 68 달러로 다르게 나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네이버 배당률과 시킹 알파 배당률 부정확합니다.
네이버와 시킹알파 둘 다 배당률은 99% 같습니다만, 배당액이 다릅니다(ZIM의 실제 배당은 1분기 17달러).
네이버는 ZIM 배당금을 68달러로 표시(즉 17달러에 4번을 곱해서),
시킹 알파는 ZIM 배당금을 17달러로 표시하였지만, 배당률은 17달러 X4로 계산하여서, 배당률을 99%로 표시했지만 둘 다 정확하지 않습니다.
실제 ZIM 배당률은 99%가 아닌, 아무리 많아야 최대 24% 정도로 추정됩니다. 즉 1분기에 17달러 배당은 맞지만, 2분기부터 배당금이 대폭 줄어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ZIM의 1년 주당 순이익이 최대 39달러 정도로 예상하는데, 이미 17달러를 배당해서 2분기부터는 줄어든다고 생각하는 게 합리적입니다.
따라서 실제 배당금을 확인할 때 시킹알파와 네이버 배당금만 보고 투자하면 큰 낭패를 봅니다.
네이버와 시킹 알파 표시 배당금과 배당률은 전분기 배당금 4배 추정치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기업의 배당률과 배당금을 확인할 때는 네이버에서 제공한 배당금과 배당률은 추정치임을 잊어선 안 됩니다(시킹 알파 제공 배당률은 전 분기 4배로 단순 추정).

따라서 실제 기업 사이트나 시킹알파의 배당 사이트의 배당 이력과 배당성향, 아니면 다른 배당 사이트에 나오는 배당 정보와 크로스체크를 하신 후에 판단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