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KNOW WHO는 무엇인가? KNOW WHO는 KNOW HOW보다 중요한 성공 비결 KNOW WOH는 무슨 뜻일까요? KNOW WHO는 무엇인가?라고 묻는다면 KNOW HOW보다 중요한 성공 비결이라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이제 세상은 노하우 KNOW HOW는 쉽게 찾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구굴의 엄청난 검색 능력으로, 구글링만 하면 웬만한 데이터는 다 나옵니다. 노하우는 넘치는 세상이라, 주식 투자 성공 비결도 구글링 하면 다 나옵니다. 노하우 KNOW HOW는 의미 없는 시대가 되고 있어요. 노하우 KNOW HOW 찾는 비결도 구글 형님을 이길 수가 없습니다. 전쟁터에서도 하수는 날아오는 총알 피하기에 급급하고, 중수는 총알이 날아온 곳 노웨어(KNOW WHERE)에 반격하려고 합니다. 고수는 총을 언제 누가 총을 쏠지, 노후 KNOW WHO를 알고 미리 대비합니다. 주식 초짜는.. 더보기
미국 배당주에 3억 투자하면? 세후 매월 260만 원 확보로 노후 해결 미국 배당주에 3억 투자하면 어떤 일이 생길까요? 3억을 미국 고배당 ETF에 투자하면 세후 월배당 260만 원 확보로 노후 해결이 가능합니다. 여기에 국민연금을 추가로 받는다면, 호화판은 아니지만, 노후 문제는 해결 가능합니다. 미국 월배당 ETF 중에 12% 고배당 QYLD ETF가 있습니다. QYLD ETF배당률은 12.33%입니다(12월 5일 현재). 12% 고배당 QYLD에 3억 투자하면? 어떤 일이 벌어질지 한번 계산해 보았습니다. QYLD ETF에 3억을 투자하면 세후 배당이 260만 원이 나옵니다. QYLD ETF는 현재 주가가 22.03달러이니, 환율을 1,180원으로 계산하면, 3억이면 11,540주를 살 수 있습니다. 1주당 세후 배당이 0.19달러(15% 배당세 제외)이니, 대략 매.. 더보기
PSR은 무엇인가? PER란 무엇인가? PSR은 매출 기준 가치, PER는 순이익 기준 가치 PER란 무엇이고, PSR은 무엇인가? 주식투자를 하시는 분들에 헷갈려하는 분들에게 PER 개념과 PSR개념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려고 합니다. PER과 PSR은 둘다 회사 가치를 평가하는 지표인데, PER 개념과 PSR개념이 무엇인지 이해하면 한눈에 주가가 비싼 지 싼 지 금방 알 수가 있습니다. 개념적으로 PER는 순이익개념으로 기업가치 평가, PSR은 매출 기준으로 기업가치를 평가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PER는 주가를 순이익으로 나눈 것이고, PSR은 주가를 매출액으로 나눈 것입니다. PER은 순이익, PSR은 매출액으로 이해하면 간단합니다. 즉 PER= 순이익 몇 년치 합, PSR=매출액 몇년치 합으로 개념을 정리하면, 잊어버리지 않을 겁니다. PER은 순이익으로 PSR은 매출 기준으로 기업 .. 더보기
하락 방어용 미국 월배당 ETF 소개, NUSI와 JEPI ETF 오늘도 나스닥이 2% 넘게 빠지면 하락의 그림자가 다가오네요. 이렇게 장이 하락할 때, 하락을 방어하면서, 7%가 넘는 배당을 받을 수 있는 ETF, 하락 방어용 미국 월배당 ETF를 소개합니다. NUSI ETF와 JEPI, HNDL ETF가 대표적인 하락 방어용 미국 월배당 ETF입니다(덜 빠지면서 6% 이상의배당을, 월배당으로 주니 하락장에서 버티기 쉽습니다). NUSI ETF는 하락방어용 ETF입니다. 펀드 운용 전략도 위험 관리(RISK Management)를 표방하는, 대표적 하락장에서 덜 빠지게 설계된 ETF입니다. JEPI ETF는 저변동성을 추구하면서 고배당을 주는, 즉 하락장에서 덜 빠지면서 고배당을 주도록 설계했습니다. JP모건의 금융공학 기법이 녹아 있는, 7%대 배당을 주고, 적게 .. 더보기
미국 배당주 실제 포트폴리오 공개, 미국 주식 배당률 6%대 포트 공개 필자는 미국 배당주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바벨전략(고배당+고성장)을 기본으로 하면서, 배당성장주를 알파 개념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몇 달 동안 알파 쪽이 너무 커져, 배당투자 전략이 흐트러져서, 11월에 크게 리밸런싱을 했습니다. ​ 11월 중순 경 CLM을 팔았습니다. 시세차익과 배당이 좋은 종목인데, 고배당군 비중이 커져서, 비중 조절 차원에서 CLM 익절. 2그룹 배당주중에 에너지 주인 OKE, PBA와 금융 주인 BAC를 매도했습니다(리밸런싱 주요 목적이 배당주 그룹 슬림화). ​ 원오크와 , 펨비나 파이프라인, 뱅크 오브 아메리카는 9월 10월 하락장에서 수익을 내 준 효자종목이지만, 11월 중순부터 매도시작해서 전량 매도 완료했습니다. 원오크 매도 이유는 이익실현, 뱅크 오브 아메리카 매도.. 더보기
매월 초 배당 주는 BST, DIVO, UTF, GOF 12월초 배당 입금 배당주 투자는 시장 하락 시 멘털이 덜 나가도록 해줍니다. 그래서 시장 등락 무시하고, 수량 늘리는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월 월급처럼 따박따박 배당받는 재미는 쏠쏠합니다. "달러 들어 왔슈" 하는 배당 카톡의 므흣함을 한 달에 13번 이상은 즐기는 미국 배당주 투자자입니다. 13개 월배당은 5개는 월초, 4개는 중순, 4개는 하순에 나옵니다. 이 중 월초 5개 중 4개가 12월 1일 임금 완료. 매 월초에 배당주는 BST 12월 배당금 입금되었습니다. BST 펀드 배당률은 5%대, BST 주가 상승도 QQQ 못지않아 조금씩 모아가고 있습니다. 12월 배당 32.9달러가 입금. DIVO ETF 배당률은 5%대로 월배당입니다. DIVO ETF 12월 배당금 29.3달러가 입금. DIVO는 대형주만 담.. 더보기
미국 주식시장 향후 전망과 미국 주식시장 하락 지지대 미국 주식시장 하락 이유는 많이 올랐기 때문이고, 미국 시장의 가장 큰 악재는 많이 상승했다는 겁니다. 시장은 알아서 오르거나 내리거나 하는데, 우리만 괜히 쓸데없이, 몸과 마음만 피곤하게 수많은 이유와 근거를 찾는다는 겁니다. 시장의 가장 큰 악재는 금리도, 테이퍼링도, 오미크론 바이러스도 아닙니다. 가장 큰 악재는 많이 상승했단 겁니다. 다우존스 기술적 분석으로, 미국 주식시장 향후 전망을 해보면, 대략 3월까지 상당한 조정이 있을 것으로 봅니다(이렇게 마음을 비워놔야 덜 힘들어집니다). 첫째, 다우지수 월봉차트로 보면 향후 조정은 필연적입니다. 1만 대에서 시작한 상승이 3만 5천 대이니, 쉬어갈 때가 된 겁니다. 다우 월봉 차트의 후행스팬(점선 안의 검은색 선)이 기준선과 이격이 많이 벌어져 있습.. 더보기
미국주식시장 하락 이유와 미국 주식 시장 악재 주식이 그대를 속일지라도 슬퍼하거나 노여워 말라. 하락의 날을 참고 견디면 머지않아 상승의 날이 오리니 하락은 언제나 슬프고 괴로운 것. 마음은 언제나 상승에 사는 것. 그리고 또 지나간 하락은 항상 아쉬워지는 법이니. 미국 주식 시장 하락 이유는 많이 올랐기 때문입니다. 테이퍼링과 금리인상은 다 아는 사실(악재 이미 반영)입니다. 쉼 없이 올랐던 시장이, 상승 피로감으로 쉴 때가 되어서 오미크론을 핑계로 하락하는 것으로 봅니다. 미국 주식 시장 가장 큰 악재는 많이 상승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주식시장의 가장 큰 악재는 많이 올라다는 것입니다. 미국 주식시장 하락이유는 많이 올랐기 때문이고, 미국 주식 시장의 가장 큰 악재는 많이 상승한 것입니다. 거창한 이유 없습니다. 시장은 많이 상승하면 많이 하락..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