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미국 주식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미국 주식은 바벨 전략에 따라 12% 고배당주와 애플과 마소 중심의 고성장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바벨처럼 고배당과 고성장 두 그룹에 중점을 두고 투자하다가 최근에 수정 바벨전략을 만들어 3개 그룹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1그룹은 12% 고배당 종목, 2그룹은 고성장주 중심의 기술주 종목, 3그룹은 배당성장주 중심으로 투자하고 있고, 배당을 중점은 포트 목표대로 6% 배당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바벨전략으로 투자하는 실전 미국 포트폴리오(2204 버전)의 투자 성과를 포트폴리오 비주얼라이저(Portfolio Visualizer)를 분석해본 결과 고무적인 결과를 얻었습니다.
첫째는 바벨전략 포트는 SPY보다 5% 더 CAGR이 높았습니다. 바벨전략 포트의 MDD는 - 5%로 SPY-8%보다 훨씬 안정적인 성과를 보였습니다. SHARP RATIO도 1.70으로 SPY 1.17보다 더 안정적으로 분산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었습니다.
둘째는 연초 투자 성과와 3개월, 1년, 최장기간(20년) 비교 시 수익률을 비교해 보았습니다. 바벨전략 배당 포트는 어느 경우든 SPY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습니다.
실제로 4월 25일 현재 비교 기간 중에도 바벨전략 포트폴리오의 수익률은 +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물론 환율의 영향도 있지만 여전히 하락장에서도 SPY보다 강력한 하락 방어를 보이고 있습니다.
현재 바벨 전략 포트에는 총 18개 종목이 투자되어 있습니다. 포트 편입 기준은 반드시 배당을 하는 종목이기 때문에 구글이나 아마존, 테슬라 등 비 배당 종목은 편입하지 않았습니다. 그룹별로 정리하면
1. 고성장 그룹에서 애플과 마이크로 소프트, 시스코 시스템과 BST 4 종목
2. 배당성장주에는 알트리아, 애브비, 티로 프라이스, 리츠 3 종목, 배당성장 ETF 4개(SCHD, CDC, JEPI, DIVO) 10 종목
3. 고배당주에는 12% 배당 종목인 QYLD, RA, GOF, RIV 4 종목으로 총 18개 종목입니다.
18개 종목은 펀드가 9개, 개별종목 9개 균형을 맞추고 있습니다.
작년 12월에 공개한 고배당과 고성장을 추구하는 바벨전략 포트입니다. 4개월 만에 리벨런싱 포트가 어떻게 변했을까요? 바베 전략 포트(2204 버전)는 12월 대비 종목수가 줄었습니다. 하락장에 맞춰 종목 군을 슬림화했기 때문입니다.
https://develop-my-life.tistory.com/21
본 포스팅은 투자권유나 종목 추천이 아닙니다. 투자 판단과 결정 책임은 투자자분에게 있습니다.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52주 신고가 대비 50% 이상 하락한 나스닥 종목 20개 (2) | 2022.04.28 |
---|---|
QQQ 대신 BST에 투자하는 이유? - QQQ와 BST 주가 비교 분석 (2) | 2022.04.27 |
내가 QQQ에 투자 않는 이유 - 애플과 마이크스소프트면 충분 (1) | 2022.04.25 |
배당성장 SCHD ETF에 30년 투자 결과 - 소액 투자로 부자는 법 (2) | 2022.04.24 |
워런 버핏의 매수기준 3가지 체크 리스트 (0) | 2022.04.23 |